티스토리 뷰

쨍한 대낮에 쓰레기 장에 들어서는 차 한 대, 선글라스와 장발 그리고 어딘지 위협이 느껴지는 더러운 사내가 아무렇게나 세워져 있는 거울에서 장발의 머리를 묶기 시작합니다. 그리곤 살려달라고 비는 한 남자를 향해 쇠망치를 질질 끌면서 걸어갑니다. 이는 범죄도시 장첸이 화면에서 강렬하게 그 존재감을 내뿜었던 장면으로 무서워서 너무 떨렸습니니다. 2017년에 개봉한 영화 범죄도시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강력 범죄 영화입니다. 마동석의 통쾌한 액션과 윤계상의 강렬한 악역 연기가 돋보이는 이 영화는 한국 사회의 이주민 범죄 문제, 경찰 조직의 대응 방식, 그리고 도시 내 범죄 생태계에 대해 흥미로운 시선을 던집니다. 오늘은 영화의 줄거리, 사회적 배경 그리고 전체적인 총평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범죄도시 관련 영화

영화 줄거리

영화 범죄도시’는 2004년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을 중심으로 발생했던 실제 조선족 폭력 조직 사건을 모티브로 만들어졌습니다. 서울 강력계 형사 마석도는 오랜 시간 가리봉동 일대의 폭력 조직을 관리해 오며 어느 정도의 질서를 유지해 왔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중국에서 넘어온 신흥 폭력조직 ‘흑룡파’가 등장하면서 상황은 급변하게 됩니다. 이 흑룡파의 리더는 장첸으로, 등장부터 무자비한 폭력과 잔혹한 수법으로 기존 조직들을 제압하고 가리봉 일대의 권력을 장악해 나갑니다. 기존 조폭들과는 달리 규칙 없는 야만적인 방식으로 움직이는 장첸은 가리봉 지역 전체를 공포에 몰아넣습니다. 마석도 형사와 그의 팀은 이들에 맞서 수사를 시작하지만, 외국 국적의 범죄자이자 무법자와 다름없는 장첸을 잡기란 쉽지 않습니다. 경찰은 증거 부족, 피해자들의 침묵 등으로 수사에 어려움을 겪지만, 마석도는 직접 행동에 나서 장첸의 행적을 좇습니다. 결국 장첸은 무자비한 살인과 조직 간 폭력으로 경찰 수사의 중심에 오르게 되고, 마석도는 그와 최후의 일전을 벌이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펼쳐지는 추격전, 체포 장면, 그리고 결말의 결투는 영화의 하이라이트로 손꼽히며 관객들에게 큰 카타르시스를 선사합니다.

영화가 담고 있는 사회적 배경

범죄도시는 이주민 밀집 지역에서 발생하는 범죄와 그에 대한 제도적 대응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사회 문제를 담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가리봉동은 중국 동포(조선족)를 비롯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된 지역으로, 언어와 문화의 장벽, 제도적 사각지대 속에서 범죄율이 급격히 증가한 곳입니다. 이 영화는 그러한 사회적 배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 외국인 범죄에 대한 경각심과 법적·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을 드러냅니다. 특히, 장첸과 흑룡파가 조직적인 범죄를 저지르면서도 국적과 신분 문제로 인해 수사망에서 교묘히 빠져나가는 모습은, 당시 경찰이 겪던 한계와 문제점을 보여주는 장면이기도 합니다. 또한 영화는 경찰 조직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도 함께 지적합니다. 수사 과정에서의 비협조, 사건 은폐, 조직 내부의 갈등 등은 실화를 기반으로 한 만큼 사실감 있게 그려지며, 이 역시 관객들에게 현실을 직시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사회적 약자인 외국인 노동자들이 범죄의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경찰과 지역 사회가 협력해 범죄를 통제하려는 노력 등이 영화 속에 잘 담겨 있습니다. 

영화 총평

범죄도시는 상업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잡은 보기 드문 범죄 영화로 평가받습니다. 우선, 배우들의 몰입도 높은 연기는 이 작품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입니다. 특히 마동석은 정의로운 형사의 모습과 함께 인간적인 면모까지 자연스럽게 표현해 내며 주인공 캐릭터에 깊이를 부여했습니다. 반면, 윤계상은 기존의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전형적인 악역 캐릭터를 압도적인 존재감으로 소화해 호평을 받았습니다. 영화의 액션 장면은 리얼하면서도 과장되지 않은 선에서 카타르시스를 주며, 특히 클라이맥스의 체포 장면은 관객들의 심장을 뛰게 만드는 명장면으로 남았습니다. 촘촘한 각본, 빠른 전개, 세밀한 인물 묘사 등은 작품 전반의 완성도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무엇보다 범죄도시는 한국 사회의 민감한 문제인 이주민 범죄, 외국인 노동자 문제, 법과 제도의 공백 등을 드러내며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에 대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에 대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앞으로 자라나 세상을 살아갈 아이들에게 더 좋은 세상을 남겨 주어야 하는 것은 지금 우리 어른들의 가장 중요한 숙제일 것입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