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가란 무엇입니까?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국가란 국민입니다, 그런 국가를 아무증거도 없이 국가보안법이라는 이유로 탄압하고 짓밟았잖소!! 이 명대가 요즘 너무 와닿습니다. 분명 우리도 국가란 국민이라고 배웠으며, 믿고 살아가고 있는데 혼란의 시기를 살아가는 현재에는 의심스럽게 느껴집니다. 현재와는 다른 이유로 또 다른 정치적 혼란기였던 1980년대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영화 변호인은 만들어졌습니다. 인권과 정의, 법의 역할에 대해 강한 메시지를 담아서 말입니다.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의 초창기 변호사 시절을 모델로 한 주인공 송우석의 성장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오늘은 영화 변호인의 줄거리, 사회적 배경, 그리고 작품의 총평까지 다루어 보겠습니다.
영화 줄거리
1980년대 초, 부산에서 세무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며 돈벌이에만 관심이 있는 송우석은 등장합니다. 대학도 검정고시로 입학하였고, 사회의 차가운 시선 속에서 끊임없는 노력 끝에 성공하였습니다. 송우석은 어릴적 돈이 없어서 국밥을 먹고 도망을 쳤었던 기억이 있었고 그 빚을 갚으러 국밥집으로 갔었습니다. 주인 아주머니는 한사코 받으려 하지 않았고 오히려 그를 대견해 하였습니다. 그는 국밥집의 단골이 되어 모든 모입을 국밥집에서 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식당 아주머니의 아들 진우가 참여하는 독서모임의 집단이 붙잡혀 하게 됩니다. 이에 진우도 잡혀가 모진 고문을 당하게 됩니다. 식당 아주머니는 송우석을 찾아가 도움을 요청합니다. 이에 우석은 식당 아주머니와 함께 진우를 만나러 갑니다. 그곳에서 만난 진우의 몰골은 처참했습니다. 많은 충격을 받은 모습에 우석은 모두가 꺼려 하던 진우의 변호를 맡게 됩니다. 이때부터 영화는 단순한 개인의 법정싸움이 아닌, 국가 권력에 맞선 한 변호인의 이야기로 전환됩니다. 법정 장면에서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치열한 논리 싸움과 정의를 위한 외침은 인상깊게 다가오며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줍니다.
영화 사회적 배경
이 영화가 특별한 이유는 우석의 단순한 성장 이야기가 아닌, 당시 시대상을 치밀하게 표현하였기 때문입니다. 변호인은 1981년 발생한 '부림사건'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부림사건은 당시 부산 지역에서 대학생들과 지식인들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며, 고문과 조작된 증거로 인해 부당하게 재판을 받은 실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1980년대 초반은 전두환 정권의 군사 독재가 절정을 이루던 시기로, 국민의 인권은 뒷전이었고, 정권 유지와 반정부 인사 탄압이 우선시되던 시대였습니다. 이 시기의 억압된 언론, 무분별한 구금, 고문과 조작된 재판은 지금의 민주주의가 어떤 대가로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배경입니다. 영화는 이처럼 가혹했던 시대를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합니다. 경찰과 안기부의 감시, 조작된 수사, 무력 앞에 무력한 법정 등은 실제로 수많은 국민들이 겪었던 공포의 현실이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단순한 감동을 넘어서, 그 험난한 시대를 살아낸 이들의 아픔과 의미를 되새길 수 있게 합니다.
영화 총평
데모한 사람이 천벌받으면 데모를 하게 한 사람은 무슨 벌을 받아요? 영화에서 피해자 박진우는 이렇게 말합니다. 저도 정말 궁금했습니다. 대체 수 많은 사람들을 고통속에 처하게 해서 데모를 일으키게 하였던 그들이 어떤 벌을 받았을지, 지금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말입니다. 변호인은 "법이 정의를 지켜야 한다"는 원칙을 되새겨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특히, 초반부에서는 돈만 밝히는 인물이었던 송우석이 정의를 위해 모든 것을 걸고 싸우는 모습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의 양심과 도덕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송우석 역할을 하였던 배우 송강호의 변호사로서의 압도적인 몰입이 영화를 더욱 빛나게 합니다. 특히 고문 장면을 목격하고 분노에 찬 눈빛으로 재판에 임하는 모습은 우리의 가슴속에 있던 감정을 끌어올리는 힘이 있습니다.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를 돌아보게 만들고,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의 법과, 인권 그리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헌산하는 사람들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만듭니다. 누구나 꺼려했던 진우의 국선변호를 자처했던 송우석의 용기가 큰 변화를 맞이하는 모습을 보면서 나에게 닥쳐있는 일이 아니더라도 용기를 내야하는 상황에 있다면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습니다. 내가 살아가는 세상은 내 것만이 아닌, 나의 아이들 또는 지금 이순간에도 어려움에 처해 있는 사회적 약자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생각을 하게 합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권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 하게 하는 귀한 영화입니다. 황금같은 시간 귀한 영화와 함께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