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꼭 성공하시고, 조심하세요. 이게 마지막 연락 같네요'. 라며 독립운동가 김해숙은 담배를 입에 물고 덜덜 떨리는 손을 가누지 못하면서 권총의 방아쇠를 당겨 자살하게 됩니다. 이 장면은 영화를 보았던 그 어떤 장면보다 저에겐 큰 울림을 주었던 장면입니다. 죽음을 목전을 두고 대의를 위해 자신을 던질 수 있는 그녀의 용기는 심장을 떨리게 만들었습니다. 영화 암살은 2015년 개봉한 최동훈 감독의 작품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을 배경으로 한 가상의 독립운동 작전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역사적 인물과 시대적 배경을 절묘하게 녹여낸 이 작품은 흥미로운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암살의 줄거리, 사회적 배경, 그리고 영화에 대한 총평을 중심으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영화 줄거리
암살은 조국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운 독립운동가들과 그들을 배신한 밀정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33년 경성, 조선 주둔 일본군 사령관 가와구치와 친일파 강인국을 제거하기 위한 암살 작전을 계획합니다. 이 임무는 임시정부 소속의 독립운동가 염석진에 의해 조직되며, 저격수 안옥윤, 폭탄 전문가 황덕삼, 권총 사수 속사포로 구성된 암살단이 꾸려집니다. 하지만 염석진은 이미 일제에 협력하는 밀정이 되어 있었고, 임무가 시작되기도 전에 암살 작전을 일본 측에 누설합니다. 동시에 조선 출신의 청부 살인업자 하와이 피스톨에게 암살단을 제거하라는 의뢰가 들어갑니다. 혼돈 속에서 안옥윤과 하와이 피스톨은 의도치 않게 협력하게 되고, 암살 작전은 오히려 더 큰 전환점을 맞게 됩니다. 영화는 암살자들의 개인적인 사연과 내면의 갈등, 그리고 그들이 마주하는 역사적 책임을 밀도 있게 다룹니다. 특히 영화 후반부에 드러나는 염석진의 배신과 그의 최후는 역사 속에서 누가 진짜 민족의 적인가에 대한 질문을 줍니다.
사회적 배경
영화 암살의 배경은 철저히 실제 역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시점인 1930년대 초반은 일제의 식민 통치가 극에 달했던 시기로, 무장 투쟁과 문화운동이 동시에 존재했던 복합적인 시대입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조선 주둔 일본군, 조선총독부, 친일파 자본가 등은 모두 실제 인물과 구조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암살 작전을 계획한 임시정부 역시 실제 존재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모델로 했으며, 그 안에 있었던 이념의 대립과 배신, 밀정의 존재까지 모두 역사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사실입니다. 영화 속 인물 염석진은 허구의 인물이지만, 실제 역사에는 그와 같은 이중 스파이들이 존재했고, 이들로 인해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체포되거나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암살’의 이야기를 더욱 사실감 있게 만들며, 단지 픽션으로 끝나지 않고 현실적인 울림을 줍니다. 특히 친일파에 대한 처단이라는 주제는 지금까지도 사회적으로 뜨거운 논쟁거리이기에, 영화는 현재에도 이어지는 역사적 책임과 기억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 총평
천만 관객이 선택한 영화 암살은 흥미와 감동을 주는 것과 동시에, 탄탄한 구성, 다층적인 캐릭터 설정, 그리고 긴장감 넘치는 연출을 통해 마지막까지 몰입하게 만들어주었습니다. 최동훈 감독 특유의 유머와 인간미 넘치는 캐릭터 묘사는 독립운동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느낄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전지현은 안옥윤이라는 인물을 통해 여성 독립운동가의 용기와 희생을 보여주며, 하정우는 하와이 피스톨이라는 매력적인 캐릭터로 극에 활력을 불어넣습니다. 조진웅, 이정재 등 주조연을 막론하고 배우들의 호연은 영화의 완성도를 높여 주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인상 깊은 점은 암살이 정의란 무엇인가, 과연 우리는 기억해야 할 인물을 올바르게 기억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계속해서 던진다는 것입니다. 영화는 지금 처해있는 자신과 사회 그리고 역사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처음 시작에서 소개해드렸던 독립운동가 김해숙 배우의 명장면 외에도 많은 감동과 서사를 담은 장면들이 많이 있는 영화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시간을 쪼개어 한 번쯤 감상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